Global Analysis

‘선교의 무덤’에서 제자 배가하기

미전도 종족을 위한 교회 개척에 효과적인 보즈푸리(Bhojpuri)의 패턴

Victor John & Dave Coles 3월 2022

약 30년 전에, 주님께서는 당시 ‘선교의 무덤’로 알려져 있던 지역에서, 내 주변의 수백만의 보즈푸리어를 사용하는 미전도 종족에게 복음을 더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한 사역의 패턴을 찾고자 하는 열망을 내게 허락하셨다.

보즈푸리족은 카스트 제도와 토지 분쟁으로 훼손된 인도 북부의 매우 비옥한 갠지스 평원에 살고 있다. 그들은 대체로 극심한 가난 속에서 살아가며 외부인과 외부 영향에 대해 적대적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비옥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 고타마 부처(Gautama Buddha)는 이 지역에서 깨달음을 얻고 첫 설법을 했다. 요가와 자이나교(Jainism)는 모두 이곳에서 유래했다.

미전도 종족 가운데 교회 개척을 위한 우리의 패턴은 연구로 시작하여 관계, 제자도, 그리고 지속 가능성으로 이동한다.

많은 개인적 고투와 과도기를 거친 후에, 나는 비전을 발견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다. 몇 년 안에 하나님은 놀라운 방법으로 역사하기 시작하셨다. 1990년대에 시작된 보즈푸리 교회 개척 운동(The Bhojpuri Church Planting Movement)은 현재 천만 명이 넘는 제자들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수많은 다른 미전도 종족들 가운데 그 운동을 전파하기 위해 힘써왔다.[1]

데이브 콜스(Dave Coles)와 함께 우리는 보즈푸리 및 다른 미전도 종족에게 접근하는 데 사용한 패턴을 공유하며, 모든 기독교 지도자가 큰 그림 – 그들과 그들의 사역적 환경을 위한 큰 그림( ‘비전’ 혹은 ‘소명’)이 무엇이든 간에 – 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전도 종족 가운데 교회 개척을 위한 우리의 패턴은 연구로 시작하여 관계, 제자도, 그리고 지속 가능성으로 이동한다.

사람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이해

우리는 사람들이 기도하도록 격려하지만 그들이 무엇을 위해 기도하기를 바라는가? 구체적인 기도는 구체적인 필요를 아는 데서 나오기에, 우리는 연구조사를 통해 필요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림을 더 명확하게 보려면 정보를 수집하고 편집해야 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나라의 확장이라는 우리의 목표달성을 위한 길을 닦는다.

연구조사를 위해서는 개방적인 태도로 관계를 맺어야 한다. 우리는 현장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고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배우며 이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우리는 20년 또는 50년 전에 수행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작업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유용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연구가 시행된 시기 이래로 생겨난 변화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교회 개척 운동의 지도자들이 기초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이는 교회를 개척하고 사람들을 파송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모든 세부 사항이 기록된 지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의 사역 위치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알고 있다. 사람들의 필요와 주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일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가 일하는 지역의 정치, 경제, 종교 관행 및 경향과 같은 요인을 살펴본다. 우리는 공동체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찾아낸다. 이 모든 요인들은 상황에 대한 매우 명확한 그림을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우리가 효과적인 사역을 할 수 있다.

인도는 관계형 국가이므로 관계에 중점을 둔다. 우리는 이러한 관계를 기반으로 최고의 내부 정보를 얻는다. 우리 문화에서는 누군가가 펜을 꺼내기만 해도 사람들이 마음을 닫아버린다. 자신들의 말이 기록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들은 아무 말도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연구자는 그 부분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정보를 기억했다가 나중에 기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런 연구조사는 새로운 사역 계획과 기도로 조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우리 문화에서는 누군가가 펜을 꺼내기만 해도 사람들이 마음을 닫아버린다. 자신들의 말이 기록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들은 아무 말도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연구자는 그 부분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정보를 기억했다가 나중에 기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제자도와의 관계

우리의 사역 초기 단계에는, 문맹률이 30%에 불과했다. 우리는 문맹자들 사이에서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일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내야 했다. 많은 신자들이 배우기를 열망하지만 읽거나 쓸 줄을 몰라서, 구술 성경학교(oral Bible school)를 시작했다. 우리는 그림 성경, 드라마, 이야기 및 구술 학습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6개월 훈련 과정을 만들었다. 모든 훈련 참가자는 성경 읽기를 배웠다. 보즈푸리어로 드라마화되어 제작된 오디오 신약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제자화하는 데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전도나 제자도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다루지 않는다. 우리는 전도를 염두에 두는 의도적인 관계속에서 사람들에게 접근하기 시작하며, 이를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기반을 형성한다. 그것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백성이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이유를 알려준다. 복음은 초청에 의해 전해지는 것이기에, 관계를 맺으면 선포의 기회가 열리게 된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해 깨닫게 되고, 더 많이 알아가기를 원한다. 이것을 통해 그들을 믿음으로 인도하는 길을 열어준다. 그런 다음 우리는 새로운 신자들이 즉시 간증을 나누도록 격려한다. 이렇게 제자도는 맨 처음부터 생활 방식을 바꾼다. 우리는 이런 종류의 제자도가 모든 곳에서 구현되도록 권면한다.

현지인의 소유권(Local Ownership)을 통한 지속 가능성

아래의 다섯 가지 요인들이 보즈푸리와 관련된 교회 개척운동을 지속 가능하게 했다.

1. 지역의 리더십을 발굴하고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우리는 현지인의 소유권이 사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을 굳게 믿는다 – 그리고 그 소유권은 주님의 인도하심을 민감하게 따르는 동반자협력 관계에서 시작된다. 모든 주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은 우리가 홀로 감당하기에는 너무 큰 일이라는 것을 이해한다. 우리가 그 일을 다 해낼 수는 없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신자들을 우리의 모든 프로그램에 파트너로 초대한다. 예를 들어, 각 커뮤니티 학습 센터를 설계하여 우리 조직이 아닌 지역 파트너의 섬김을 강화한다. 현지인에게 책임을 위임하고 그들에게 리더십의 지위를 부여한다.[2]

2. 사역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존보다는 권한 부여의 문화를 개발한다. 우리의 부재시 사역이 무너지지 않도록 우리는 항상 미래의 상황을 대비하며 섬긴다. 예수님은 의존성을 기르신 것이 아니라 제자들에게 권위를 주셨다. 예수님은 신랑이시다. 우리는 그분의 친구일 뿐이다. 들러리는 결혼식까지 도와줄 뿐 신혼여행은 가지 않는다! 사람들은 첫날부터 예수님을 의지해야 한다.

3. 텐트메이커(tentmakers) 가운데 지도자를 양성하고 교회 개척 운동의 유전자(DNA)를 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지도자들이 가진 재능에 따라 이중직을 갖도록 권한다. 그에 따른 돈과 모든 종류의 혜택을 얻는다는 생각을 처음부터 불식시킨다. 그들이 이미 거래를 하고 있다면 그들이 주도하면서 그 일을 계속하도록 권장한다. 교회 개척 운동은 급여와 돈에 의존할 수 없다. 교회 개척 운동은 하나님과 그의 이중직 지도자들에게 의존해야 한다.

4. 리더십의 위계 서열을 규정하지 않는다. 우리 조직에서 리더십은 직위보다는 기능에 따라 주어진다. 리더는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누군가를 성공으로 이끌며, 결국 다른 사람들을 이끌 수 있는 사람이다. 우리는 직위별 리더십의 사고방식을 피하며, ‘목사(Reverend나 Pastor)와 같은 호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당신이 리더다’ 라고 말한다. 우리가 직함을 피하는 것은 일부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지만 효과가 있다. 그것은 급진적인 동시에 성경적이다.

5. 상황에 따라 새로운 지도자를 지속적으로 멘토링한다. 우리가 모든 사역을 감당하지 않고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을 목표로 하여 사역자의 수를 배가한다. 예수님께서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셨다. 그분은 자신의 사역을 한 사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넘겨 주셨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힘의 중심으로 세우지 않고 탈집중된 배가를 목표로 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전진하다

우리는 양적, 질적인 면에서 미래의 사역을 어떻게 펼쳐 나갈지에 대해 끊임없이 분별한다. 그래서 새로운 아웃리치로 사역을 확장하는 중에 제자들이 그리스도를 닮아 성장하도록 돕는다. 주님은 우리를 능동적인 제자도 그리고 제자 삼는 일로 부르신다 – 즉 정체를 피하되 기존의 일을 위태롭게 할 정도로 우리의 사역을 확장하지 않기를 원하신다.

우리 상황에 있는 모든 신자는 박해에 대해 알아야 하고 압제에 대비할 수 있는 성경적 기초가 있어야 한다.

우리 상황에 있는 모든 신자는 박해에 대해 알아야 하고 압제에 대비할 수 있는 성경적 기초가 있어야 한다. 우리의 상황에서 박해는 한 분야에서 오지 않는다. 지역 사회, 정치 지도자, 종교 지도자, 정부 기관 및/또는 기업인과 같은 여러 곳에서 올 수 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공동체의 열쇠를 쥐고 있는 문지기 역할을 하며, 제자들을 핍박하면서 서로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박해는 배척, 폭도들의 공격, 투옥, 구타 또는 사업체나 주택의 의도적 파괴를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는 박해가 사라지기를 기도하지 않는다. 박해는 우리가 하나님 중심의 삶을 살게 하고 하나님 나라를 잘 대표하게 한다. 그러나 우리는 박해를 구하거나 불필요한 박해를 부추기지도 않는다. 그리스도에 대한 단순한 순종으로 인한 박해로 충분하다! 우리는 박해가 우리 상황에서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혹은 전 세계적으로 다른 상황에서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하나님의 백성이 굳건히 서서 흠 없는 삶을 살고(벧전 2:20) 고난 가운데서 그리스도의 본을 따르는 것(벧전 2:21)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3]

결론

전도와 제자화가 번성하기를 기대한다면 그것이 값비싼 패턴이나 장비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큰 그림(즉 주님께서 우리 각자의 삶과 사역에 주신 비전과 부르심)을 염두에 두고 시작해야 한다.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는 성경적 기초인 예수님의 지상명령에서 우리 모두는 각자의 역할과 위치를 가지고 있다. 연구조사를 통해 우리의 임무, 한계 및 업무 프로세스가 명확하게 규정된다. 전도와 제자화가 번성하기를 기대한다면 그것이 값비싼 패턴이나 장비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 가능한 운동을 원한다면 정부가 멈추거나 통제할 수 있는 자원에 의존할 수는 없다. 그리고 교회 개척 운동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제자들과 지도자들이 박해를 포함한 온갖 종류의 도전에 대비한 영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신약성경은 그런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는 길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는 그 사실이 북인도에서 적용되어 열매 맺는 것을 보았기에 이를 전세계에 흩어진 그리스도의 몸된 지체들에게 추천한다.

예수님은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요 20:21)고 말씀하시며, 이 시대를 통해 자신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분명히 하셨다 – 즉, 미전도종족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알리는 데 필요한 모든 일을 하는 것이다. 우리는 북인도에서 예수님의 제자들이 배가되어 예배 공동체 세대가 배가됨으로써 하나님 나라가 확장된 것에 대해 모든 찬양을 하나님께 드린다. 우리는 이 운동이 주님의 이름의 영광을 위하여 전 세계 모든 민족에게 쓰이기를 위해 기도한다.[4] 로잔 언약(The Lausanne Convenant)서문에 제시된 비전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양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 시대에 행하시는 일에 깊은 감동을 받으며 […] 아직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복음화 사역에 도전을 받는다. 우리는 복음이 온 세계를 위한 하나님의 좋은 소식임을 믿고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이 복음을 온 인류에 선포하여 모든 민족을 제자 삼으라고 분부하신 그리스도의 명령에 순종할 것을 결심한다.[5]

미주

  1. See ‘How the Bhojpuri CPM has Started Other Movements,’ in 24:14 – A Testimony to All Peoples, ed. Dave Coles and Stan Parks (Independently published, 2019), 185-188.
  2. 편집자 주 : 커스트 리반(Kirst Rievan)의 ‘ 원주민 선교 시대에 외국인이 여전히 필요한가? ‘ (로잔 글로벌 분석 2021 7월호)를 참조하십시오.
  3. 편집자 주: See article by Manfred Waldemar Kohl entitled, ‘사역 훈련을 위한 국제 표준’ in the November 2021 issue of Lausanne Global Analysis.
  4. Portions of this article consist of excerpts used by permission from Bhojpuri Breakthrough: A Movement that Keeps Multiplying (Monument, CO: WigTake Resources, 2019): 53, 68, 70, 93, 95, 137.
  5. 로잔 언약, 19쪽, https://lausanne.org/wp-content/uploads/2021/10/Lausanne-Covenant-%E2%80%93-Pages.pdf.

사진 제공

Photo by Shashank Hudkar on Unsplash

Photo by Srimathi Jayaprakash on Unspl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