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Analysis

글로벌과 로컬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복음주의 교회

제4차 로잔대회 공청회 요약 보고서

Steve Sang-Cheol Moon 11월 2022

소개

로잔 운동의 지도부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4차 로잔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지역별, 이슈 네트워크별로 세계 복음주의 지도자(이하 지도자)를 초청하여 공청회(listening calls)를 개최했다. 2024년에는 지역별 리더들과 함께 총 12회의 지역 간담회, 그리고 23개의 이슈 네트워크(issue networks)와 YLGen(청년 지도자 세대, Younger Leaders Generation) 네트워크로 구성된 24회의 간담회도 개최했다. 회의는 2020년 9월부터 2021년 7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각 그룹의 리더들이 회의에서 정리한 회의록을 제공했다.

회의록의 질적 데이터는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의 절차에 따라 글로벌 경청팀(Global Listening Team)에 의해 분석되었다. 귀납적 분석 과정은 캐시 차마즈(Kathy Charmaz)의 코딩 전략에 따라 일차코딩(라인별 코딩), 집중코딩 및 이론적코딩의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1] QSR 인터네셔널사의 제품인 윈도우용 NVivo라는 QDA(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코딩 및 분석이 진행되었다.


회의록은 경청 과정에서 사용된 5가지 질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1) 지상대위임령의 성취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선교적 격차(gaps) 또는 남아 있는 과제는 무엇인가?

2) 지상대위임령의 성취를 가속화할 수 있는 유력한 돌파구와 혁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지상대위임령의 성취를 위하여 어떤 영역에서 더 큰 협업이 가장 중요한가?

4)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주제는 무엇인가?

5) 경청의 과정으로, 우리가 추가로 의견을 들어야 할 대상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지역 보고서 개요

12개의 보고서를 한 줄씩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총 285개의 주제 코드가 도출되었다. 이후의 집중 코딩 및 분석은 4개 이상의 공청회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56개의 코드에 대해 진행되었다.

남아있는 격차에 대한 첫 번째 질문의 범주에 나타난 주요 주제는 ‘제자도의 필요성’, ‘젊은 세대에게 다가가기’, ‘사랑과 연합’, ‘리더십의 다양성’, ‘ 외부 세계와 접촉하지 않는 교회’, ‘남아있는 미전도 종족집단(UPGs)’, ‘이슬람의 팽창과 무슬림 전도의 필요성’, ‘환경 위기와 창조세계 돌봄’, ‘타문화 선교의 부족’, ‘상황화의 부족’, ‘직장 및 일터 사역의 필요’였다.

돌파구와 혁신에 대한 두 번째 질문에서 분석된 지배적인 주제는 ‘사역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 사용’, 자생적 선교 운동’, ‘사역의 돌파구와 혁신’이었다.

협업에 대한 세 번째 질문의 범주에 속하는 주된 주제는 ‘협력의 필요성’과 ‘플랫폼으로서의 로잔운동’이었다.

추가 연구에 관한 네 번째 질문에서 중요한 주제는 ‘디아스포라와 이민자’, ‘사역의 사회문화적 상황’, ‘COVID -19팬데믹이 사역에 미치는 영향’, ‘미전도 종족집단’, ‘신학의 상황화’, ‘교회 성장’, ‘교회의 협력’, ‘Z세대와 젊은 세대’, ‘리더십‘이었다.

경청해야 할 추가 대상자들에 대한 다섯 번째 질문에서 중요한 주제는 ‘Z세대와 청년들’, ‘ 성령’, ‘현장의 사람들’, ‘목회자와 교회 지도자’, ‘불신자들과 타종교의 사람들’, ‘서로’, ‘여성’, ‘학계의 목소리’, ‘현지인’, ‘정치 지도자‘였다’.

이슈 네트워크 보고서 개요

24개의 보고서를 한 줄씩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총 247개의 주제 코드가 도출되었다. 집중 코딩 및 분석은 4개 이상의 이슈 네트워크 공청회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59개 코드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질문의 범주에서 나타난 주요한 주제는 ‘ 제자도의 필요성’, ‘청소년 참여’, ‘사랑, 일치, 동반자적 협력관계’, ‘새로운 외부 사역에 대한 교회의 수용’, ‘ 총제적 관점의 부족’이었다. , ‘상황화 부족’, ‘외부 세계에 참여하지 않는 교회’, ‘사역자과 지도자 훈련’, ‘자원의 격차’, ‘현대 기술과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교회’, ‘비전과 신뢰의 부족’, ‘미전도 종족집단(UPGs)’, ‘언어 장벽과 성경 번역’, ‘반기독교적 입법과 정치’였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중요한 주제는 ‘사역을 위한 새로운 기술’ , ‘사역의 돌파구’, ‘교회의 영적 각성’, ‘교회들과 지도자들의 연합’, ‘자생적 선교 운동’, ‘새로운 지도자들의 부상’이었다.

협업에 대한 세 번째 질문에 대한 주된 주제는 ‘협업의 필요성’, ‘플랫폼으로서의 로잔’,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었다.

네 번째 질문의 범주에 속하는 중요한 주제는 ‘모범 사례 연구’,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 ‘전도사역 연구’, ‘미전도 종족집단 연구’, ‘기금 마련 및 자금 조달’, ‘ Z세대 및 젊은 세대에 대한 연구’,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보는 사역에 대한 연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 관한 연구’, ‘현재 이슈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 관한 연구’, ‘신학의 상황화에 관한 연구’였다.

다섯 번째 질문에서 나타난 중요한 주제는 ‘Z 세대와 젊은 사람들’, ‘세계 다수의 지도자들’, ‘현장에 있는 사람들’, ‘토착민’, ‘목회자와 교회 지도자들’, ‘여성’, ‘성령’, ‘불신자와 타종교인’, ‘서로’, ‘비즈니스 리더’, ‘디아스포라와 이민자’였다.

글로벌 종합 및 이론적 논증

전체 그룹의 회의록에는 총 391개의 주제 코드가 나타났다. 주제 코드 중 115개는 4개 이상의 회의록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10회 이상 회의에서 총 38개의 코드가 나왔고 20회 이상 회의에서 6개의 코드가 나왔다. 그 코드는 다음과 같다: ‘협업의 필요성’(36회의 회의); ‘사역을 위한 새로운 기술 사용'(29회); ‘Z세대 및 청년 세대의 소리 듣기'(27회); ‘제자도의 필요성'(25회); ‘사랑, 화합, 동반자적 협업'(20회); 및 ‘사역의 돌파구'(20회). 36개의 모든 공청회에 협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역 네트워크와 이슈 네트워크 회의에서 총 102개의 집중 코드(이슈를 다루는 4개 이상의 그룹)가 나타났다.

격차와 남은 기회

복음주의 교회가 직면한 도전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주제에 대해서는 사역에 참여하는 사역자들과 지도자들을 위한 제자도와 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제자도와 사역 훈련의 기본 접근 방식은 사역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기독교 교육의 기본이 되는 또 다른 강조점은 사랑, 연합, 동반자적 협력 관계였다. 지도자들은 복음주의 교회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에 대처하는 데 있어 교파적 배경과 조직적 경계를 초월하는 기독교적 사랑과 일치에 기초한 협력적인 노력을 요청했다.

복음주의 교회가 당면한 남은 과제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패러다임 전환의 측면이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2] 지도자들은 사역의 접근 방식에서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축적된 사역 지식을 통해 프로그램과 활동의 수행 방식에 변화가 일어나길 원했다.

돌파구와 혁신

사역에서 사용되는 첨단 기술과 미디어의 유용성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의 사용 덕분으로 사역의 혁신을 이룰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많은 지도자들이 공감했던 것은 복음주의 교회 내에서 눈에 띄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회와 그 지도자들은 더욱 연합되어 있는데, 이는 새로운 혁신적인 지도자의 출현에서 기인할 수 있다.

다양한 사역의 지도자들 사이에서 공감한 바에 따르면 복음주의 교회와 기독교 단체의 사역에서  돌파구가 목격되고 있다. 혁신적인 과정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려면 젊은 사람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사역 접근 방식을 혁신하는 문제는 사역의 관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며 이것은 바로 상황화 작업의 일부이다. 창조적인 과정으로서의 혁신은 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상황화를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지도자들은 획기적인 혁신을 급진적으로 추진하기보다는 사역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은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보인다.[3]

Article

A Listening Posture

David Bennett offers eight practices to listen with humility, love, and hope.


협업

협업의 필요성은 많은 그룹에서 길게 논의되었다. 로잔운동을 글로벌 협력을 위한 플랫폼으로 사용한다는 견해는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지도자들은 로잔운동에 대해 대단한 신뢰를 표명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그 역할을 더욱 확장할 것을 제안했다 .

정보 공유에 대한 강조는 협업을 위한 상호 노력의 기반이 되고 있기에 주목할 만하다. 사역의 협업을 위한 촉진자(faciliator)이자 플랫폼으로서 로잔운동의 역할을 설정하는 데 그런 기대감은 매우 건설적인 것으로 보인다.

연구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사역과 관련된 관심과 이슈들을 광범위하게 반영한 미래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했다. 연구 부족이라는 주제는 복음주의 선교계에서 취약한 영역을 드러낸다. 이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복음주의 교회와 단체들은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해결하는 데 통일성을 갖추지 못했고 체계적이지 못했다.

전반적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와 제언은 실증적 연구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미래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과 더 많은 연구에 대한 요청은 인류의 상황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포함하는 선교 신학을 수행하는 데 있어 현실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4] 연구 결과를 세계 교회와 효과적으로 공유하는 것은 섬김의 표현이 될 것이다.

추가적인 경청의 대상은?

사람들의 말을 잘 듣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고를 넘어서는 생각이 필요하다. 성령님께 귀기울인다는 것은 복음주의 신앙의 규범이지만 많은 지도자들은 다른 사람들, 특히 같은 교단이나 단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의 말을 듣느라 너무 분주하다. 동시에, 성령의 음성을 듣는 것은 공동의 훈련으로 가능하다.[5]

경청에 대한 학제간의 접근을 요구하는 제안들이 많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구는 체계적인 경청의 방법이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경청은 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지식에 대한 총제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세분화되거나 계층화된 접근 방식보다는 학제간의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결론

복음주의 교회 앞에 놓인 격차와 도전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그러나 지도자들은 그들의 사역에서 다루어야 할 현재의 문제와 도전을 잘 알고 있다. 그들은 사역에 대한 전망에 대해 지나치게 비관적이지 않다. 그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역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동원한 돌파구가 있다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대체로 글로벌화(glocalization)는 기독교 사역에서 광범위하고 깊이있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수년 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글로벌화는 많은 사역의 현장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내포하면서 빠르게 현실이 되고 있다.

공청회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처럼 복음주의 공동체에서는 연합에 대한 확고한 결의가 표명되었다. 지역적, 교파적, 세대적 배경의 다양성 속에서도 강력한 연합이 느껴졌다. 동시에, 다른 사역의 경계를 넘어 더 높은 수준의 사랑과 일치를 보고자 하는 강한 열망도 있었다.

사역의 전략적 제휴와 사역의 혁신을 위한 특별한 결집을 위하여 2024년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4차 로잔대회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복음주의 교회가 직면한 문제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다년간에 걸친 다중심적(polycentric) 접근은 합리적인 방식이다. 경청하려는 노력은 발전을 이루는 의미있는 과정이었다. 그리고 공청회에서 공유된 공동체적 지혜로 우리는 사역 현장에서 창의적 접근을 위해 역사하시는 성령안에서의 약속을 기억하게 된다.[6]

미주

  1. Kathy Charmaz,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2nd Edition (London: SAGE, 2014). 근거이론의 초점은 귀납적인 분석의 과정의 결과로 이론을 생성하는 것이다. 차마즈의 일차코딩, 집중코딩, 이론적코딩의 개념들은 근거이론의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제안들이다.
  2. Larry Laudan, Progress and Its Problems: Towards a Theory of Scientific Growth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139. 또한 Larry Laudan의 다른 책들도 참고하라, Science and Relativism: Some Key Controvers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1-32; Larry Laudan, Beyond Positivism and Relativism: Theory, Method, and Evidence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21-25.
  3. 그러나 시장창조형 혁신(market-creating innovation)이 지속형 혁신이나 효율성 혁신 만큼 필요하다. See Bryan Mezue, Clayton Christensen, & Derek van Bever, ‘The Power of Market Creation: How Innovation Can Spur Development,’ Foreign Affairs, January/February 2015을 참고하라, https://www.foreignaffairs.com/articles/africa/2014-12-15/power-market-creation.
  4. Paul Hiebert, The Gospel in Human Contexts: Anthropological Explorations for Contemporary Missions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9), 44-53, 127.
  5. 폴 히버트(Paul G. Hiebert)는 초대교회가 교리적인 선언문을 일방적으로 제시하기보다 하나의 신학적인 과정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사도행전 15장에 묘사된 예루살렘공회를 해석학적 공동체(a hermeneutical community)의 성경적 모델로 이해한다. Hiebert, P. G. (1994). Anthropological Reflections on Missiological Issues. Grand Rapids: Baker. p. 95.
  6. 이 기사는 공청회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요약한 것이다. 분석 보고서의 전체 내용은 로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lausanne.org/l4/global-listening/the-evangelical-church-interacting-between-the-global-and-the-local